“은행, 증권사, 보험사… 도대체 어디서 연금저축을 가입하는 게 제일 나은 걸까요?”
저도 처음엔 연말정산 할 때 세액공제 받으려고 알아보다가
너무 복잡해서 손 놓을 뻔 했는데요,
이제는 좀 알아서 정리해봤어요.
저처럼 헷갈리는 분들한테 도움이 됐으면 좋겠어요

연금저축은 어디서 가입하냐에 따라 ‘완전히’ 달라져요
- 같은 400만 원을 넣더라도,
→ 어떤 금융사를 고르느냐에 따라 10년 후 수익률이 천차만별!
그러니 “가까운 은행 가서 그냥 가입하자~”는 절대 NO
은행, 증권사, 보험사 비교해서 나한테 맞는 데에서 가입하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.
어디서 가입하면 좋을까? 수익률 & 수수료 비교표 (2024년 기준)
구분 | 은행 | 증권사 | 보험사 |
대표 예시 | 국민은행, 신한은행 등 | 미래에셋, 키움, NH 등 | 삼성생명, 한화생명 등 |
예상 수익률 (연평균) | 약 2~3% | 약 5~8% (ETF 기준) | 약 1.5~2.5% |
수수료 | 계좌관리비 無 / 운용보수 약 0.5% | 운용보수 0.1~0.4% 수준 (ETF) | 사업비 포함 최대 2~3%까지 |
장점 | 안정적, 예금보호 | 투자 다양, 수수료 저렴 | 사망/진단 보험 포함 가능 |
단점 | 수익률 낮음 | 직접 운용 필요 | 수수료 비쌈, 유연성 낮음 |
추천 대상 | 초보자, 안정추구형 | 투자 관심 많은 분 | 보험 기능도 고려하는 분 |
실제 후기를 보면,
“은행은 안전하지만 수익이 너무 약하고,
보험은 가입하고 나서 후회했다”는 말이 많더라고요.
그래서 요즘은 증권사 통해 ETF로 연금저축 하는 분들이 늘고 있어요.

그럼, 증권사에서 모바일로 어떻게 가입해요?
앱 설치부터 상품 선택까지, 저도 직접 해본 경험담처럼 알려드릴게요!
예: 미래에셋 m.Stock 기준
- 앱 설치 후 회원가입 → 신분증 인증 + 비대면 계좌 개설 (5분 컷)
- 연금저축계좌 개설하기 → ‘연금저축펀드 계좌’ 선택하면 됩니다.
- 상품 선택 (이게 중요!)
- 초보자: TDF 펀드 (연령별 자동 리밸런싱)
- 수익 노리는 분: 채권 ETF + 글로벌 주식 ETF 조합 추천
- 자동이체 설정 → 매달 10만 원 이상 납입하면 세액공제 가능! (연 최대 400만 원)
- 가입 완료 🎉 → 연말정산용 납입내역은 '증권사 앱 > 연금관리' 메뉴에서 확인 가능

실전 꿀팁
- 한 번에 IRP랑 연금저축 둘 다 개설하면 세액공제 한도 700만 원까지 가능!
- ETF 비중이 높은 증권사일수록 수익률이 높고 수수료가 저렴함
- 연금저축은 해지 시 불이익 크니까 꼭 장기 운용 전제로 가입하세요
금융사별 연금저축 추천 상품표 (2024년 기준 예시)
금융사 | 상품명 | 유형 | 특징 | 적합 대상 |
미래에셋증권 | TDF 2045, 미국S&P ETF | 연금저축펀드 | 글로벌 분산투자, 수수료 저렴 | 30~40대, 투자 관심자 |
키움증권 | 타겟데이트펀드, 채권형 ETF | 연금저축펀드 | 초보자도 쉬운 투자 | 안정+성장 둘 다 원하는 분 |
삼성생명 | 연금저축보험 행복플랜 | 연금저축보험 | 고정 수령, 보험 기능 포함 | 리스크 회피형, 고연령층 |
신한은행 | 연금저축예금 | 예금형 | 예금자 보호, 고정 이자 | 초보자, 안정형 우선 |
NH투자증권 | 올바른 TDF시리즈 | 연금저축펀드 | 투자 연령대 맞춤 설계 | 장기 계획자, 젊은 직장인 |
결론: 무조건 '어디서' 가입하느냐가 중요!
은행에서 하면 간편하지만…
**"10년 뒤 연금 수령액 차이가 수백만 원 차이날 수도 있다"**는 거 잊지 마세요.
저는 개인적으로 **증권사(미래에셋/키움/삼성증권 등)**에서 ETF 위주로 운용하는 게
세금 혜택 + 수익률 모두 챙길 수 있어서 가장 괜찮았어요.
2025.04.16 - [돈이되는 생활정보/정보] - 2024년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 + 노후 준비 체크리스트
2024년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 + 노후 준비 체크리스트
"나는 과연 60세 이후에 얼마를 받게 될까?"요즘 직장인, 자영업자, 프리랜서 할 것 없이 노후에 대한 걱정은 모두의 이야기입니다.오늘은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부터, 지금 당장 점검해봐야
eastwind.tistory.com
2025.04.16 - [돈이되는 생활정보/정보] - 프리랜서도 노후 준비 가능할까? IRP부터 연금저축까지
프리랜서도 노후 준비 가능할까? IRP부터 연금저축까지
“직장인은 국민연금+퇴직연금 다 받는다는데…프리랜서는 뭐로 노후 준비하죠?”프리랜서, 1인 크리에이터, 자영업자처럼 4대 보험 가입이 어려운 분들에겐국민연금 외에 '개인형 연금'이 유
eastwind.tistory.com
'돈이되는 생활정보 >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혈당 다이어트, 진짜 효과 있을까?혈당 급상승 음식 피하고, 측정기로 똑똑하게 관리하기 (23) | 2025.04.21 |
---|---|
티스토리 저품질 확인 및 원인,이유와 복구방법 총정리 (16) | 2025.04.20 |
프리랜서도 노후 준비 가능할까? IRP부터 연금저축까지 (9) | 2025.04.18 |
2024년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 + 노후 준비 체크리스트 (28) | 2025.04.17 |
미국 넷플릭스 + 일본 애니를 VPN으로 보는 방법 (2024년 최신 가이드) (8) | 2025.04.16 |